-독일 관념론
독일 관념론(Deutscher Idealismus)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독일의 루터파 지역에서 전개했던 철학 사상이다. 독일 고전주의 철학 또는 독일 이상주의 철학이라고도 불린다. 마르크스주의를 국가이념의 시효로 하는 나라들에서는 독일부르즈와 관념론(der deutsch-bürgerliche Idealismus)이라고 불린 적도 있으나 지금은 사라졌다. 칸트의 비판철학 및 그에 대한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비판에 자극받아 신 또는 절대자라 불리는 관념적 원리의 자기 전개로서 세계 및 인간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학자 피히테, 셸링, 헤겔 외에 라인홀트, 횔덜린, 조르거 신학자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가 독일 관념론의 주요 논자로 인정 받고 있다.
칸트는 사유의 여러 형식만을 주관에 돌리고 그 내용은 주어지는 것으로 하여 형식과 내용 사유와 존재의 2원론을 방치하였다. 현실을 진리로 높인다는 사업에 정신이 적극적으로 참가하기 위해서는 정신의 자립성이 수립되어야만 한다. 이 2원론의 극복은 우선 "자아가 비아를 정립한다"는 주관주의(피히테), 이어 그와는 반대로 객관 속에 자아와 똑같은 정신적 능동성을 발견하여 사유와 존재, 주관과 객관을 일체적인 관계에 두고 고찰하려는 방향(주로 셸링)에서 추구되고, 마지막으로 이 일체적인 관계가 "실체는 동시에 주체이다"라는 견지에서 정신이 자기 부정을 매개하여 자기 자신을 정립하는 운동으로서 '변증법'의 자각적인 전개에 의하여(헤겔) 확립되기에 이르렀다.
18세기 말 당시의 독일은 통일국가란 이름뿐이며, 프랑스나 영국에 비하여 근대화가 현저하게 뒤떨어져 있었다. 거기에 결정적인 기여한 역사적 사건으로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의 침략이었다. 봉건제와 정면으로 싸울 힘이 없었던 독일 지식인은 여기서 다시 근대화와 민족 독립을 모순된 것으로 받아들여야만 했었다. 이처럼 거의 빠져나갈 길이 없는 역사적 상황 아래 독일에서는 선진국이 물질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실현했던 것을 정신적·논리적으로 실현하여 '독일 관념론'이 대두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독일 관념론의 주요한 주제는 정신(思惟)의 자립성 문제, 의식의 능동적 활동성 문제였다.
-주관적 관념론
주관적 관념론, 또는 경험적 관념론은 마음과 정신 내용만 존재한다는 철학적 일원론의 한 형태이다. 이는 물질적 사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교리인 비물질주의를 수반하고, 일반적으로 동일시되거나 관련된다. 주관적 이상주의는 이원론, 중립 일원론, 물질주의를 거부한다. 실제로 제거적 유물론, 즉 정신 현상의 전체 또는 일부 부류가 존재하지 않고 순수한 환상이라는 교리의 반대이다.
주관적 관념론은 즉시 지각된 것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현상주의 또는 경험주의와 정신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관념론의 융합이다. 관념론은 비정신적인 것의 인식 가능성이나 존재를 부정하는 반면 현상주의는 정신적인 것을 경험적인 것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관적 관념론은 정신적 현실을 일상적 경험의 세계와 동일시하며 이 현실이 범신론처럼 어떤 식으로든 '신성한' 것인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며, 이 현실이 절대적 관념론처럼 근본적으로 통일된 전체인지 여부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관념론은 객관적인 실재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기 때문이 아니라 이 실재가 그것을 인식하는 주체의 마음에 완전히 의존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주관적'이다.
주관적 관념론자로 식별할 수 있는 최초의 사상가는 경험의 세계를 주관적 인식의 흐름으로 축소한 인도 불교의 유가행파 학파의 구성원이었다. 주관적 관념론은 18세기 유럽 조지 버클리의 저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는 마음에 독립적인 실재라는 관념이 일관성이 없으며 세상은 인간과 신의 마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결론지었다. 후속 작가들은 버클리의 회의적인 주장과 계속 씨름해 왔다. 이마누엘 칸트는 버클리의 비물질주의를 거부하고, 정신 독립 세계를 존재하지만 그 자체로는 인식할 수 없는 것으로 보는 초월적 관념론으로 대체함으로써 대응했다. 칸트 이래로 진정한 비물질주의는 희귀한 상태로 남아 있었지만 현상주의, 주관주의, 관점주의와 같은 부분적으로 겹치는 운동에 의해 살아 남았다.
-절대적 관념론
절대적 관념론 또는 신헤겔주의는 19세기 후반 이후 헤겔 철학을 포함하는 독일철학의 영향을 받은 독일 이외의 현대철학을 편의상 총괄하는 말이다. 독일 관념론의 완성으로서의 헤겔의 절대적ㆍ체계적 철학 및 거기에 기초한 헤겔 학파는 헤겔 사후(1831) 자연과학의 발달과 헤겔 좌파에 의한 철저한 비판에 의해 논리적으로 급속히 붕괴되었다. 하지만 독일에서는 19세기 후반에도 딜타이 등의 역사주의에 의해 헤겔주의는 계승되었다. 특히 20세기 초반부터 헤겔주의는 다시금 19세기 이래의 객관적 정신의 학문으로서뿐만 아니라, 논리학과 형이상학으로서도 다양한 형태의 관심이 기울여지게 되었다.
-초월적 관념론
초월적 관념론이 독일철학에 극적으로 영향을 주었지만 이 개념을 정확히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는 20세기 철학자들 가운데 논란의 주제였다. 칸트는 그의 《순수이성비판》에서 이를 처음으로 기술하면서 실재론과 관념론에 대한 그의 관점과 동시대적 관점을 구별하였으나 철학자들은 칸트가 이 상태들 각각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 초월적 관념론은 칸트의 《형이상학 서설》을 토대로 형식주의적 관념론(formalistic idealism)과 관련되었다. 또, 초월적 관념론은 독일의 철학자들 피히테, 셸링, 쇼펜하우어에 의해 레이블로 채택되었으며 20세기 초에는 후설이 노블 형식의 초월적 현상론적 관념을 채택하였다.
-영국 관념론
영국 관념주의(British idealism)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두에 걸쳐 융성을 자랑한 철학, 정치 철학 유파와 그 사상이다.
철학, 심리학